- [ Network/Docker ][Network | Docker] 설치 및 컨테이너 생성2024-06-30 21:00:59🐳 시작하세요! 도커 쿠버네티스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1. docker 설치❓ docker는 root 혹은 sudo 명령어로 설치해야 하며 64 비트에 최적화되어 있다.yum install -y yum-utils # yum 패키지 매니저 관련 유틸리티 모음 설치# 저장소 url을 추가하면 이후 도커 관련 패키지를 설치 / 업데이트할 수 있음# 끌어쓴다? 는 느낌이 강하다..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yum install -y docker-ce # 도커 설치systemctl start docker # 실행systemctl status docker # 상태 확인systemctl en..
- [ Network/Docker ][Network | Docker] 용어 및 개념2024-06-30 19:35:51도커컨테이너를 다루는 도구(컨테이너 런타임)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 배포 / 실행을 단순화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상화 기술 중 하나인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서버 환경을 구성기존에는 가상 머신을 이용해 각각의 가상 서버로 환경을 구성하였지만 도커는 호스트 os와 커널을 공유하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인 컨테이너로 구성하여 관리함이미지라는 단위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함쿠버네티스 - 컨테이너 분산 배치 / 상태 관리 / 컨테이너 구동 환경 관리컨테이너도커 엔진에서 사용하는 기본 단위이자 도커 엔진의 핵심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것이미지로 컨테이너 생성 시 해당 이미지 목적에 맞는 파일 시스템과 격리된 자원 /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독립 공간이 생성되고 이것은 도커 ..
- [ Network/ETC ][Network | ETC] 무료 도메인 발급2024-06-25 01:03:35포트폴리오, 실습용으로 도메인을 구입하기엔 치킨 한마리 값이라도 뭔가 비싸보였다. 그래서 무료 도메인 발급을 검색하다가 내도메인.한국 이라는 곳을 알게 되었는데 사용법을 검색하지 않아도 너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끔 만들어져 있었다. 무료 도메인을 발급해보자.1. 내도메인.한국 접속url에 그냥 ‘내도메인.한국’ 이라고 쳐도 나온다.https://내도메인.한국/2. 도메인 검색한글 도메인을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서 나는 일반 도메인으로 검색했다.3. 도메인 선택나는 깃허브 닉네임으로 검색했고 5번째에 등록불가는 내가 등록한건데 누가 사용 중이면 저렇게 뜨나보다. 마음에 드는 도메인을 ‘등록하기’ 눌러 등록하자.4. 도메인 설정고급설정(DNS) - IP연결(A)의 IP 입력란에 배포한 IP ..
- [ Network/NetWork ][Network] SSH2024-06-24 13:19:34SSH(Secure Shell Protocol)원격지에 있는 컴퓨터를 안전하게 제어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된다.SSH 클라이언트와 SSH 서버간에 상호작용하며 SSH 서버가 설치된 운영체제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SSH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원격 접속하여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대표적으로 github를 통해 push, clone하는 것이 포함된다. 혹은 puTTY를 통해 가상 서버에 파일을 옮긴다거나 …)데이터 전송원격 접속원격 제어SSH 클라이언트와 SSH 서버 사이에는 강력한 암호화를 통해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중간에 데이터를 가로채도 해석할 수 없다.SSH가 나오기 전에는 Telnet(원격 접속)을 사용했었다. 그러나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암호화하..
- [ Network/Rocky Linux ][Network | Rocky Linux] 공인 IP 포트포워딩2024-06-23 22:02:01요약1. 공인 IP 알아내기(네이버 ‘ip 주소’ 검색 혹은 공유기 환경설정 페이지 확인 …)2. 공유기 IPv4 주소 알아내기(cmd - ipconfig - IPv4 주소)3. 공유기 환경설정에서 공유기 IPv4로 포트 포워딩하기(내·외부 포트 - 80 / 내부 IP 주소 - 172.*** …)4. vm virtualbox에서 80 포트 열기(호스트 포트 - 80 / 게스트 포트 - 80) - WEB #1, WAS #1, WAS #2 IP Address - 192.168.**.*** …(호스트 네트워크에서 DHCP 사용하여 동적으로 할당받은 IP를 사용 중이다) 개발 환경(rocky linux)의 ip 주소는 localhost가 아닌 host PC의 이더넷 어댑터의 IPv4를 입력한다. 1. 공인 IP..
- [ Network/Rocky Linux ][Network | Rocky Linux] SSH 설치2024-06-23 21:42:11Network / SSHSSH(Secure Shell Protocol)원격지에 있는 컴퓨터를 안전하게 제어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된다.SSH 클라이언트와 SSH 서버간에 상호작용하며 SSH 서버가 설치된 운영체제를 제어mytilblog.tistory.com 1. SSH 설치 및 방화벽 설정# ssh 설치$ yum install openssh-server# ssh 설치 디렉토리 확인$ which sshd# 방화벽 설정(ssh 기본 포트 번호는 22이다)$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22/tcp --permanent# 방화벽 재실행$ firewall-cmd --reload2. SSH 관련 설정 파일 수정 $ vi /etc/ssh/sshd_con..
- [ Study/Troubleshooting ][Troubleshooting] Spring war 배포 후 관련 이슈 모음2024-06-22 17:07:001.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데이터베이스 연동이 안된다? 대체 왜 안될까하다가 내 프로젝트에 데이터베이스 연동해놓은 부분을 찾아봤다. url 주소가 127.0.0.1로 되어있는데 이게 localhost니까 리눅스에서는 호스트 네트워크로 포트 포워딩한 192.168.56.103이라는 IP 주소로 접속하려고 시도하려나? 싶어서 127.0.0.1을 지우고 cmd에서 ifconfig하면 나오는 사설 IP 주소로 변경했고 이후 접속이 잘됐다.2. Host ‘IP Address’ is not allowed to connect to this MariaDB serverUSE mysql;SELECT HOST, USER, PLUGIN..
- [ Study/Troubleshooting ][Troubleshooting] Unable to process parts an no multi-part configuration has been provided2024-06-20 23:54:59oracle VM virtualbox를 통해 서버 구축 후 war 파일을 배포했다. 이후 해당 싸이트에서 글 작성 테스트 중 500 에러가 발생했다. 게시글 등록 시 dto와 multi-part를 같이 담아 보내는데(캡처에서는 다 안보이지만 밑에 첨부파일 등록하는 부분이 있다) multi-part 설정 부분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라고 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conf/context.xml을 수정한다. ~ 수정 전 ~ ~ 수정 후 ~ context.xml 수정 후 'systemctl restart tomcat' 해주고 다시 게시글을 작성하니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 레퍼런스https://powerku.tistory.com/12https://lunker-e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