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50

[Raspberry Pi 5] Mosquitto 설치

라즈베리파이에 아두이노 연결하고 mqtt 사용할거라 설치했다. 1. Mosquitto 설치apt install -y mosquitto mosquitto-clients2. Mosquitto 실행$ systemctl enable mosquittoSynchronizing state of mosquitto.service with SysV service script with /lib/systemd/systemd-sysv-install.Executing: /lib/systemd/systemd-sysv-install enable mosquitto$ systemctl start mosquitto$ systemctl status mosquitto● mosquitto.service - Mosquitto MQTT Broke..

[Rocky Linux] 고정 IP 할당하기

안쓰는 노트북에 WAS-2, LB 서버 구축 중이며 브릿지 네트워크로 IP를 할당받았다. 해당 IP를 고정 IP로 할당하기 위해 작업을 진행했다. # 고정 IP를 할당할 디바이스 확인$ nmcli device statusDEVICE TYPE STATE CONNECTIONenp0s3 ethernet connected enp0s3 $ cd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system-connections]# ls -l-rw------- 1 root root 294 Mar 22 11:38 enp0s3.nmconnection nano enp0s3.nmconnection [connection]id=en..

Network/Rocky Linux 2025.03.22

[Network] D-Link DDNS 설정

원룸에서 포트포워딩 작업해야 할 때는 상관이 없는데 외부 카페같은데서 원룸 공유기에 접근해야 할 때는 접근이 안되니 불편함을 많이 느꼈었다. 집말고 외부에서 공유기를 건드려야 할 때를 대비해 나는 DDNS 설정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을 진행했다.1. DDNS 서비스 가입하기https://www.noip.com/ 나는 구글로 회원가입 후 hostname을 등록했다.  hostname 등록 시에는 hostname에는 ddns로 접근할 url을 지정해주고 IP / Target에는 공인 IP를 입력해주면 된다.2. 공유기 DDNS 설정하기 전체 호스트 이름 : hostname 등록 시 지정했던 URL사용자 이름 및 사용자 비밀번호 : 알아서 입력하자..업데이트 주기 (분) : 뭘 참고한 게 ..

Network/NetWork 2025.03.15

[Raspberry Pi 5] jar 배포

토이 프로젝트 진행 중에 라즈베리파이 내부에 jar를 배포해야 했다. 처음에 war 방식으로 진행하다가 나중에 집와서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아..’ 했다. 추후에 다시 작업할 일 있으면 참고할려고 메모용으로 남기는 포스팅이다. 선수 작업으로 해당 jar에 맞는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 포트포워딩 작업알아서 포트포워딩하자.2. Apache2 conf 파일 수정Apache2 기준으로 수정 파일 경로는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eault.conf’이다.  ServerAdmin webmaster@localhost ErrorLog ${APACHE_LOG_DIR}/error.log CustomLog ${APACHE_..

[Jenkins] Jenkins 설치

이 전에 Docker를 배우고 싶었던 이유가 배포 환경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때문이였다면 이번에 Jenkins를 배우고 싶은 이유는 배포가 귀찮기 때문이다..이제 FTP 파일 전송 → docker-compose up -d --build의 늪을 벗어나보자..      docker-compose 파일을 수정한다.  # jenkins jenkins: image: jenkins/jenkins:lts container_name: jenkins user: root volumes: - /var/jenkins_home:/var/jenkins_home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ports: - {외부에서..

Network/Jenkins 2025.02.22

[Network] Apache ProxyPass 이미지 경로 설정하기

설정 파일엔 예외 처리 설정이지만.. 일단 해당 경로로 들어올 경우 프록시 패스에서 로컬 경로로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설정이라고 적어는 놨다.  현재 리소스는 라즈베리파이에 마운트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있다.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항상 SSR 방식으로 진행했기에 습관처럼 WebConfig를 통해 접근했으나 CSR은 외부에서 바로 접근하는 것이다보니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몰랐었다.  그래도 Chat GPT한테 이것저것 물으면서 정보를 얻으니 방법이 있었다. 신기했다! Apache에 더 많은 관심이 생길 것 같다. /etc/apache2/sites-available 디렉토리에서 000-default-le-ssl.conf 파일을 수정한다.(선수 작업으로 SSL 인증서 발급을 했었기에 ssl.conf에..

Network/NetWork 2025.01.29

[Linux] 파일/디렉터리 권한 변경하기

chmod 700 #{파일/디렉터리명} chmod는 파일 혹은 디렉터리의 권한 변경을 도와주는 명령어다. 더 자세한 내용은 chmod에 관한 포스팅을 알아서 읽어보자. 참고로 700은 소유자 빼곤 다 접근 불가능이다. chown #{계정명}:#{그룹명} #{디렉터리명}  깔끔하네~ 이후 FTP 프로그램(file zilla)으로 테스트해보니 해당 계정 빼곤 permission denied 에러가 뜨면서 접근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생각지도 못했었는데 docker-compose up -d --build 때릴 때 권한 문제 때문에 에러 뜬다.요령 껏 바꿔주는 게 좋겠다.나같은 경우에는 chmod 명령어로 그룹까지는 rwx 가능하게 변경해놓고 그룹을 chown 명령어로 docker build용 계정이랑 배포..

Network/Linux 2025.01.19

[Raspberry Pi 5] Prometheus 시각화를 위한 Grafana 설치 및 연동

1. Grafana Image 설치docker pull grafana/grafana2. Grafana Docker 실행docker run -d --name=grafana -p 3000:3000 grafana/grafana3. Prometheus 연동 나는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게 포트 포워딩 했으므로 공인 IP:3000으로 접속하였다. 만약 컴퓨터에서 가상 머신으로 설치했다면 포트 번호 앞에 localhost, 127.0.0.1로 접속이 가능 할 것이며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미니 PC를 사용해 네트워크를 따로 두고 있다면 해당 사설 IP:3000으로 접속이 가능 할 것이다. 나는 포트 포워딩 할 때 공인 IP:3000으로 접근할 경우 외부 포트 : 3000, 내부 포트 : 3000(3000은 Grafan..

[Raspberry Pi 5] Docker를 이용한 Prometheus 설치

그렇다고 한다.. 궁금해져서 설치만 해보고 자야겠다. 1. Prometheus 이미지 설치docker pull prom/prometheus2. node_exporter 이미지 설치(시스템 메트릭을 제공하는 도구)docker pull prom/node-exporter3. Prometheus 설정 파일 생성nano prometheus.yml global: scrape_interval: 15sscrape_configs: - job_name: 'RASPBERRY_PI' static_configs: - targets: ['192.168.0.48:9100'] 15초마다 192.168.0.48:9100에서 node_exporter가 제공하는 메트릭을 수집하며 작업 이름은 ‘RASPBERRY_PI’ ..

[Raspberry Pi 5] 운영(배포) 서버에 파일 업로드 시 하드디스크 경로에 업로드하기

해당 포스팅 참고하기 전에 생각해보자.쥔장은 굳이굳이 root 계정을 SFTP로 접근할 수 있게 끔 만들어놓고 File Zilla로 파일을 옮겼다.해당 포스팅을 작성한 후 생각해보니 Volume 폴더를 'cp' 명령어로 복사한 후 하드디스크 마운트한 폴더 내에 'mv' 명령어로 이동 후 이름만 변경하면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였다!다만 열심히 글을 작성한 후 깨달았다!이 글을 읽기 전에 정말로 이렇게 해야하는지 생각해보자!나는 이미 했기 때문에..그리고 글을 정말 정성스럽게 적었기 때문에 삭제하진 않겠다. 이걸 운영 서버라고 하나.. 배포 서버라고 하나.. 회사에선 실서버, 운영 서버라고 얘기하는데 집에서 사이드 프로젝트 배포하는 서버를 운영 서버라고 하기엔 너무 거창해서 쩝.. 여튼 개발 서버는 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