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룸에서 포트포워딩 작업해야 할 때는 상관이 없는데 외부 카페같은데서 원룸 공유기에 접근해야 할 때는 접근이 안되니 불편함을 많이 느꼈었다.
집말고 외부에서 공유기를 건드려야 할 때를 대비해 나는 DDNS 설정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을 진행했다.
1. DDNS 서비스 가입하기
나는 구글로 회원가입 후 hostname을 등록했다.

hostname 등록 시에는 hostname에는 ddns로 접근할 url을 지정해주고 IP / Target에는 공인 IP를 입력해주면 된다.
2. 공유기 DDNS 설정하기

- 전체 호스트 이름 : hostname 등록 시 지정했던 URL
- 사용자 이름 및 사용자 비밀번호 : 알아서 입력하자..
- 업데이트 주기 (분) : 뭘 참고한 게 아니라서 5분으로 적어놨다.
3.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포트포워딩 지정해주기 전까지는 hostname으로 url 접근 시에는 어디 붙은 포트가 없으니 Apache2 Default Page만 떴었다.
이제 포트포워딩해서 외부에서 접근 시 공유기 로그인 화면이 나오게 해보자.
등록 시 아래 부분을 참고해서 적으면 된다.
- 프로토콜 : TCP
- 공인 포트 : DDNS hostname 설정 시 뒤에 붙여서 들어갈 포트 번호
- 사설 포트 : 공유기마다 다를 수도 있으니 개발자 도구 헤더 참고해서 적자..
- 사설 IP : 공유기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이렇게 하면 끝난다.
테스트는 집에서 와이파이 끄고 모바일 네트워크만 켠 상태로 hostname:PORT로 접근했다.

'Network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Apache ProxyPass 이미지 경로 설정하기 (0) | 2025.01.29 |
|---|---|
| [Network] SSH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