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ubleshooting 8

[Troubleshooting] You configured HTTP(80) on the standard HTTPS(443) port!

원래 배포 웹싸이트들은 SSL 인증서 다 발급해서 관리하긴 했는데.. 이번엔 젠킨스 테스트용 웹싸이트라 굳이 SSL 인증서 발급까진 필요 없을 것 같아서 80 포트로 접근한다. 때문에 기존 SSL 설정 파일인 ‘000-default-le-ssl.conf’가 아닌 ‘000-default.conf’에서 ProxyPass 등을 설정해놨었다.  이런 식으로.. 근데 이상하게 ‘{PUBLIC IP}:{PORT}’로 접근할 때는 잘 들어가지는데 jenkins.n-e.kr로 접근하면 안되는 것이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apache2 에러 로그를 확인해봤다. tail -f /var/log/apache2/error.log  나는 SSL 쪽 설정 파일에서 작성한 적도 없고 000-default.conf 파일에서도 포트 번..

Troubleshooting 2025.02.25

[Troubleshooting] 현재 시간이랑 운영 서버 시간이랑 안맞을 때(Feat. Docker)

개발 서버 운영 서버  현재 시간이랑 너무 다르다.. API 서버 배포해놓은 리눅스 내부의 시간이 안맞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도커 컨테이너로 API를 배포했기 때문에 dockerfile을 수정했다.  FROM openjdk:17ARG JAR_FILE=*.jarADD ${JAR_FILE} app.jarEXPOSE 80WORKDIR /home/api_smart_farmVOLUME /home/download/ENTRYPOINT ["java","-jar","-Dspring.profiles.active=prod","/app.jar"]ENV TZ=Asia/Seoul 제일 아래에 있는 ENV TZ=Asia/Seoul 부분을 추가했다. 그리고 docker-compose up -d --build 해서 확인하니 아..

Troubleshooting 2025.02.22

[Troubleshooting] SSL 인증서 및 도메인 발급 이후 HTTP 기본 페이지로 나오는 문제

공인 IP:포트로 접근했을 때는 잘 됐었다. 그러나 SSL 인증서 발급하고나서부터 기본 페이지가 나오는 게 아닌가.. 처음엔 설정 파일에서 documentRoot 경로를 dockerfile에서 작성했던 경로로 똑같이 바꾸는 바보 짓도 했었는데.. 생각해보니 공인 IP:Port로는 잘나오고 SSL 인증서 발급하자마자 안됐다? 프록시 쪽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 전에 Rocky Linux에서 SSL 인증서 발급받을 때 어떻게 했는지 찾아보니 아래 문구가 더 적혀져 있었다. ProxyPreserveHost OnProxyPass / ${라즈베리파이 IP 주소 }:${컨테이너 포트 }/ProxyPassReverse / ${라즈베리파이 IP 주소 }:${컨테이너 포트 }/ 이 부분을 추가하자. 파일은 /etc/a..

Troubleshooting 2024.09.14

[Troubleshooting] 주소 [localhost]와(과) 포트 [8005]에, 서버 셧다운 소켓을 생성하지 못했습니다. (base 포트 [8005], offset [0])java.net.Bi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JVM_Bind

이슈 발생 상황은 Windows에서 Tomcat을 돌릴 때(startup.bat을 실행했을 때) cmd 창이 바로 꺼지며 실행되지 않는 상황이였다. 에러 로그는 아래와 같다.08-Aug-2024 09:33:10.755 심각 [main]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er.await 주소 [localhost]와(과) 포트 [8005]에, 서버 셧다운 소켓을 생성하지 못했습니다. (base 포트 [8005], offset [0]) java.net.Bi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JVM_Bind at java.net.DualStackPlainSocketImpl.bind0(Native Method) at ja..

Troubleshooting 2024.08.08

[Troubleshooting] the password has expired

sql developer에서 패스워드 만료됐다고 접속이 안됐다.windows 기준으로 cmd에서 아래와 같이 작업해주면 된다. C:\Users\PC>sqlplus conn as sysdbaSQL*Plus: Release 11.2.0.1.0 Production on 화 7월 9 16:49:06 2024Copyright (c) 1982, 2010, Oracle. All rights reserved.비밀번호 입력:다음에 접속됨:Oracle Database 11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1.2.0.1.0 - 64bit ProductionWith the Partitioning, OLAP, Data Mining and Real Application Testing optionsSQL> a..

Troubleshooting 2024.07.11

[Troubleshooting] Spring war 배포 후 관련 이슈 모음

1.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데이터베이스 연동이 안된다? 대체 왜 안될까하다가 내 프로젝트에 데이터베이스 연동해놓은 부분을 찾아봤다. url 주소가 127.0.0.1로 되어있는데 이게 localhost니까 리눅스에서는 호스트 네트워크로 포트 포워딩한 192.168.56.103이라는 IP 주소로 접속하려고 시도하려나? 싶어서 127.0.0.1을 지우고 cmd에서 ifconfig하면 나오는 사설 IP 주소로 변경했고 이후 접속이 잘됐다.2. Host ‘IP Address’ is not allowed to connect to this MariaDB serverUSE mysql;SELECT HOST, USER, PLUGIN..

Troubleshooting 2024.06.22

[Troubleshooting] Unable to process parts an no multi-part configuration has been provided

oracle VM virtualbox를 통해 서버 구축 후 war 파일을 배포했다. 이후 해당 싸이트에서 글 작성 테스트 중 500 에러가 발생했다. 게시글 등록 시 dto와 multi-part를 같이 담아 보내는데(캡처에서는 다 안보이지만 밑에 첨부파일 등록하는 부분이 있다) multi-part 설정 부분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라고 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conf/context.xml을 수정한다. ~ 수정 전 ~ ~ 수정 후 ~ context.xml 수정 후 'systemctl restart tomcat' 해주고 다시 게시글을 작성하니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 레퍼런스https://powerku.tistory.com/12https://lunker-emp..

Troubleshooting 202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