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 5] 라즈베리파이5 하드디스크 마운트
공부할 겸 클라우드 안쓰고 내 꺼 쓰려고 9월 초에 라즈베리파이5 사면서 하드디스크 1TB도 중고로 샀었다. 라즈베리파이에 하드디스크 붙이는 건 이제서야..(무려 3개월이 지난…..) 라즈베리
mytilblog.tistory.com
[Raspberry Pi 5] 마운트한 하드디스크 Windows 파일 탐색기로 접속하기(+ Samba)
1. Samba 설치ap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2. 설정 파일 수정nano /etc/samba/smb.conf [hdd]path = /hddread only = nowriteable = yesbrowseable = yescreate mask = 0755directory mask = 0755guest ok = novalid users = root, jy [hdd] : 네트워
mytilblog.tistory.com
별 거 없긴한데 포스팅 하나 더 할려고 끄적끄적..
마운트한 하드디스크를 추가하기 위해선 Linux에서 하드디스크 마운트 및 Samba 설치 후 세팅이 선수적으로 필요하다.
(이전 글 참조)
나는 현재 라즈베리파이5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해놓고 Samba를 설치해서 세팅한 후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게 끔 포트 포워딩 작업까지 마쳐놓은 상태다.
내가 원하는 건 ‘내 PC’에서 C:
, D:
에 접근하는 것 처럼 만드는 것이다.
지금은 위 캡처처럼 C:
, D:
만 있는 상태다.
내 PC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N)… 을 클릭한다.
그럼 위와 같이 뜨는데 드라이브는 하고싶은 걸로 해주고 폴더는 마운트시킨 하드디스크의 경로까지 적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나는 외부 IP로 접속할 수 있게 끔 포트 포워딩을 해놓은 상태라면
공인 IP/마운트시킨 하드디스크 디렉토리명
이 될 것이다.
때문에 나는 아래와 같이 작성했다.
나는 내 PC에서 G: 드라이브로 노출되길 원한 것이며 폴더는 공인 IP/하드디스크랑 마운트시킨 디렉토리명이다.
참고로 ‘내 드라이브’는 아래 Samba 설정 파일에서 작성한 부분을 토대로..
여튼 완료되면 내 PC에서는 아래와 같이 표출된다.
'Network > Raspberry Pi 5'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 Pi 5] Docker를 이용한 Prometheus 설치 (2) | 2025.01.05 |
---|---|
[Raspberry Pi 5] 운영(배포) 서버에 파일 업로드 시 하드디스크 경로에 업로드하기 (0) | 2025.01.04 |
[Raspberry Pi 5] 마운트한 하드디스크 Windows 파일 탐색기로 접속하기(+ Samba) (3) | 2025.01.03 |
[Raspberry Pi 5] 라즈베리파이5 하드디스크 마운트 (0) | 2024.12.16 |
[Raspberry Pi 5] 라즈베리파이5 내부 고정 IP 할당 (0)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