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 5] 마운트한 하드디스크 Windows 파일 탐색기로 접속하기(+ Samba)
2025. 1. 3. 21:19

1. Samba 설치

ap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2. 설정 파일 수정

nano /etc/samba/smb.conf

 

 

[hdd]
path = /hdd
read only = no
writeable = yes
browseable = yes
create mask = 0755
directory mask = 0755
guest ok = no
valid users = root, jy

 

[hdd] : 네트워크에서 보여질 이름

path : samba가 공유할 디렉토리 경로

writeable = yes : 쓰기 권한 허용 여부

read only = no : 읽기 전용 해제 및 쓰기 허용

browseable = yes : 네트워크에서 이 공유가 보이게 설정

guest ok = no : 인증된 사용자만 접근 허용

valid users = root, jy : 접속 가능한 유저

 

위에 권한은 이후에 '0700'으로 변경하였다.

 

추가적으로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아래 부분도 추가한다.

 

[global]
hosts allow = 0.0.0.0/0

3. 재시작

service smbd restart
systemctl status smbd

 

4. ‘445’ 포트 열기

ufw allow 445/tcp

5. 접근 권한 확인 및 권한 수정

ls -l /hdd
sudo chown -R ${계정명}:${계정명} /hdd
sudo chmod -R 775 /hdd

6. Samba 사용자 계정 추가

해당 부분은 Windows 파일 탐색기로 접근 할 때 로그인 계정을 설정하는 부분으로 안해주면 나중에 파일 탐색기로 들어가서 로그인 할 때 막힌다.

 

계정 추가 후 바로 뒤에 뜨는 패스워드 부분에 패스워드도 지정해주면 된다.

(Linux 서버 계정과는 연관이 없는 부분이다)

 

sudo smbpasswd -a jy

7. 포트 포워딩(선택 사항)

나는 외부에서도 들어갈 수 있게 포트 포워딩 작업을 진행했다.

만약 집에서만 쓸거라면 해당 사항 없다.

 

 

  • TCP - 연결 프로토콜
  • 공인 포트 - 445
  • 사설 포트 - 445(라즈베리파이 내부 Samba 포트 번호)
  • NAT 루프백 - true

 

참고로 파일 탐색기에서 들어갈 때 포트 번호는 안먹힌다고 한다.
그래서 내가 참고했던 레퍼런스 대부분 포트 포워딩 할 때도 공인 포트랑 사설 포트랑 445로 맞춰서 하는 편이였다.
원래는 공인 IP를 50000으로 했다가 다시 445로 변경하고 진행했다.

8. Windows 파일 탐색기 접속 테스트

나는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게 끔 포트 포워딩 작업을 했기 때문에 파일 탐색기에서 외부 IP로 접근한다.

 

 

공인 IP로도 라즈베리파이 접근이 가능하며 로그인에 성공할 경우 아래와 같이 마운트 시켜놨던 하드디스크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끝!

+ 추가(마운트된 폴더 언마운트 후 이름 변경 및 Samba 재실행하기)

/hdd 폴더 이름을 바꿔보고 싶었다.

다 하고나서 보니까 진짜 굳이긴하다..

 

/hdd ⇒ /storage

1. 폴더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lsof +D /hdd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smbd    678527 root  cwd    DIR    8,0     4096    2 /hdd
smbd    678527 root   29u   DIR    8,0     4096    2 /hdd
smbd    678557 root   35r   DIR    8,0     4096    2 /hdd
smbd    678557 root   36r   DIR    8,0     4096    2 /hdd
smbd    678557 root   38r   DIR    8,0     4096    2 /hdd

 

해당 프로세스를 죽인다.

아직 사용 중인게 아니기 때문에.. 진행한다!

 

kill -9 PID # 작성 기준으로는 'kill -9 678557'가 된다.

 

이제 umount 명령어를 통해 마운트를 해제시킨다.

마운트 해제 안되면 -i 옵션 붙여서 진행한다.

 

umount /경로/폴더명 # 작성 기준으로는 'umount /hdd'가 된다.

 

이름을 바꾼다.

 

mv hdd/ storage/

 

다시 마운트 해주고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마운트 됐는지 확인해본다.

 

mount /dev/sda /storage
lsblk

 

samba 설정 파일인 smb.conf도 수정해주는 것을 잊지말자.

 

 

재시작도 잊지말자.

 

service smbd restart
systemctl status smbd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만의 클라우드 완성❤️

 

 

매우 잘된다.


참고 레퍼런스

https://makeutil.tistory.com/181

CHAT GPT